일곱대접
2025년 9월 19일 14:11분
package jesusbornd;
/*
// Revelation15.java
// “Hello Kingdom” – 요한계시록 15장 (일곱 재앙을 가진 일곱 천사, 유리 바다, 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) 초급 Java 예시
// • 속성 3개 : 본문(요약 인용) 배열, 요약, 실천사항 배열
// • 메서드 3개 : showVerses(), showSummary(), suggestPractice()
*/
import java.util.Random;
public class Revelation15 {
/* ---------- 속성(Attributes) ---------- */
/** 계 15장 (의역 요약) */
private final String[] verses = {
"1 하늘에 크고 이상한 또 다른 이적—일곱 천사가 마지막 일곱 재앙을 가졌으니, "
+ "이것으로 하나님의 진노가 마치더라.",
"2–4 불이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이 있고,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의 이름의 수를 이기고 벗어난 자들이 "
+ "하나님의 거문고를 가지고 서서 ‘모세의 노래와 어린 양의 노래’를 부르며 "
+ "주의 크고 놀라운 일과 거룩하고 참되신 길을 찬양한다—‘모든 민족이 주 앞에 경배하리이다.’",
"5–8 하늘에 증거의 장막의 성전이 열리고 일곱 천사가 성전에서 나오며 "
+ "네 생물 중 하나가 하나님의 진노가 가득한 금 대접 일곱을 그들에게 주다. "
+ "성전이 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에서 나오는 연기로 차고 일곱 천사의 재앙이 마치기까지 "
+ "아무도 성전에 들어갈 수 없더라."
};
/** 핵심 요약 */
private final String summary =
"15장은 ‘마지막’ 일곱 대접 재앙의 도입부다. 짐승을 이긴 성도들은 유리 바다 곁에서 "
+ "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로 창조주와 구속의 하나님을 찬양하고, 하늘 성전은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로 충만하여 "
+ "심판이 완결될 것을 선포한다.";
/** 삶에 적용할 실천 가이드 3개 */
private final String[] applications = {
"① 승리의 노래 실습: 오늘 ‘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’(계15:3–4)를 요약해 개인 감사기도 3줄 작성·선포",
"② 우상 이김 루틴: 나를 미혹하는 ‘작은 짐승표’(타협/편의) 1가지를 기록하고 즉시 끊는 대체 순종 1실천",
"③ 거룩 인식: ‘성전이 영광의 연기로 가득’함을 기억하며, 하루 3분 침묵으로 하나님 임재 앞에서 마음 재정렬"
};
/* ---------- 메서드(Methods) ---------- */
/** 1) 본문(요약 인용) 출력 */
public void showVerses() {
System.out.println("[Revelation 15]");
for (String v : verses) System.out.println(v);
System.out.println();
}
/** 2) 요약 출력 */
public void showSummary() {
System.out.println("[Summary]");
System.out.println(summary);
System.out.println();
}
/** 3) 실천 가이드 중 하나 랜덤 제안 */
public void suggestPractice() {
int idx = new Random().nextInt(applications.length);
System.out.println("[Today’s Practice]");
System.out.println(applications[idx]);
}
/* ---------- 엔트리포인트 ---------- */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Revelation15 app = new Revelation15();
app.showVerses();
app.showSummary();
app.suggestPractice();
}
}
# Revelation15.py
# “Hello Kingdom” – 요한계시록 15장 (일곱 재앙의 도입, 유리 바다, 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) 초급 Python 예시
# • 속성 3개 : 본문(요약 인용) 배열, 요약, 실천사항 배열
# • 메서드 3개 : show_verses(), show_summary(), suggest_practice()
import random
from typing import List
class Revelation15:
"""마지막 일곱 대접 재앙의 도입—유리 바다 곁 승리의 노래, 하늘 성전의 거룩한 임재(계15)."""
# ---------- 속성(Attributes) ----------
def __init__(self) -> None:
# 계 15장 (의역 요약)
self.verses: List[str] = [
"1 하늘에 크고 이상한 또 다른 이적—일곱 천사가 마지막 일곱 재앙을 가졌으니, "
"이것으로 하나님의 진노가 마치더라.",
"2–4 불이 섞인 유리 바다 같은 것이 있고, 짐승과 그의 우상과 그 이름의 수를 이긴 자들이 "
"하나님의 거문고를 가지고 ‘모세의 노래와 어린 양의 노래’를 부르며 "
"주의 크고 놀라운 일과 거룩하고 참되신 길을 찬양한다—‘모든 민족이 주 앞에 경배하리이다.’",
"5–8 하늘에 증거의 장막의 성전이 열리고 일곱 천사가 성전에서 나오며 "
"네 생물 중 하나가 하나님의 진노가 가득한 금 대접 일곱을 그들에게 주다. "
"성전이 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에서 나오는 연기로 차고 일곱 천사의 재앙이 마치기까지 "
"아무도 성전에 들어갈 수 없더라.",
]
# 핵심 요약
self.summary: str = (
"15장은 ‘마지막’ 일곱 대접 재앙의 서곡이다. 짐승을 이긴 성도들이 유리 바다 곁에서 "
"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로 창조주와 구속의 하나님을 찬양하고, 하늘 성전은 거룩한 임재로 충만하여 "
"심판이 완결될 것을 선포한다."
)
# 삶에 적용할 실천 가이드 3개
self.applications: List[str] = [
"① 승리의 노래 실습: ‘모세와 어린 양의 노래’(계15:3–4)를 요약해 감사기도 3줄 작성·선포",
"② 우상 이김 루틴: 나를 미혹하는 ‘작은 짐승표’(타협/편의) 1가지를 기록하고 즉시 끊는 대체 순종 1실천",
"③ 거룩 인식: ‘성전이 영광의 연기로 가득’함을 기억하며 하루 3분 침묵으로 임재 앞 마음 재정렬",
]
# ---------- 메서드(Methods) ----------
def show_verses(self) -> None:
print("[Revelation 15]")
for v in self.verses:
print(v)
print()
def show_summary(self) -> None:
print("[Summary]")
print(self.summary)
print()
def suggest_practice(self) -> None:
print("[Today’s Practice]")
print(random.choice(self.applications))
# ---------- 엔트리포인트 ----------
def main() -> None:
app = Revelation15()
app.show_verses()
app.show_summary()
app.suggest_practice()
if __name__ == "__main__":
main()
← 목록으로
Comments
오늘 한 줄 실천: 작은 짐승표(타협) 1개 끊고, 3분 침묵으로 임재 재정렬. 끝까지 찬양으로 버티는 성도의 자리에, 주의 평강이 함께하길 축복해요! 🙏✨